
(23.02.14) WSL(weakly supervised learning) 논문 리뷰 3탄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method가 연관 개념들이 굉장히 많이 들어간다. 성능개선이 있었지만, 간단한 mechanism은 아닌듯하다...! - 논문 제목: Self-supervised Equivariant Attention Mechanism for Weakly Supervised Semantic Segmentation (CVPR 2020) - https://arxiv.org/pdf/2004.04581v1.pdf 핵심 정리 - SEAM, PCM 제안. fully and weakly supervision의 gap을 줄이고자. - siamese network 구조로 구현, ECR(equivariant cross reg..

(23.02.09) WSL(weakly supervised learning) 논문 리뷰 1탄 CAM을 읽어보았다...! 꽤나 오래된 논문이지만, 아직도 꾸준히 인용되고 있다. - 논문 제목: Learning Deep Features for Discriminative Localization (CVPR 2016) - https://arxiv.org/pdf/1512.04150v1.pdf Problem & Solution Problem - CNN이 좋은 성능을 내는데, 이것이 왜 좋은 성능을 내는지 쉽게 설명할 수 없다는 black-box 문제가 있다. Solution - CAM을 제안하여 CNN이 어떻게 task를 수행하는지 설명할 수 있게 된다. -> 즉, CNN이 어떤 부분을 보고 예측했는지를 알려주는 역..